영화 '보헤미안 랩소디' 리뷰 _ 이 영화가 핫한 이유
프레디 무큐리(?)부터 해서 보헤미안 랩소디에 대한 2차 창작이 활발합니다. 게다가 이미 개봉 후 3개월이 다 되어가는 이 시점까지도 상영이 계속되고 있죠. 많은 관람객들이 2차, 3차 등 다차 관람을 하고 이를 SNS에 활발히 공유하고 있습니다. 게다가 '싱어롱'이라는 과거 일부 영화(일본 애니메이션, 콘서트 등)들에서 매우 소규모로 진행되던 상영 방식이 이번 보헤미안 랩소디를 통해 점점 확대되고 있습니다. 이는 특정 매니아 집단의 향유 문화를 넘어서, 점차 대중화의 흐름으로 전환되는 것으로 보았습니다.
저 역시도 다차 관람을 했는데요. 처음에는 IMAX로 관람을 하고, 2차에서는 ScreenX를 통해 좀 더 색다른 느낌으로 영화를 감상해봤습니다. 마지막 콘서트 장면은 ScreenX의 장점이 극대화 된다고 느꼈어요. 보헤미안 랩소디 전에 신비한 동물 사전 2편을 ScreenX로 관람했었는데, 그때는 좀 실망스러웠습니다. 하지만 확실히 강점을 살릴 수 있는 영화에서는 스크린X가 영화 몰입감을 극대화 시켜줍니다.
다차 관람의 흐름 속에서 KOFIC(영화진흥위원회 통합전산망)에 의하면, 보헤미안 랩소디는 2018년도 매출액 3위(80,010,463,345원)를 기록했습니다. 스크린 수는 1,179개 밖에 되지 않지만 관객수가 거의 9백 만에 육박합니다. 아마 올해 관람객을 합친다면 천만을 넘는 영화가 될 것으로 기대되는데요. 순위 10위권 안에 들었던, 영화들 중 스크린수가 제일 적음에도 불구하고 이 같은 매출액과 관객수를 동원한 데에는 사회적 흐름도 한 몫 한 것으로 보입니다.
뉴-트로 / 영-트로
밀레니얼 세대들의 새로운 트렌드로 가장 많이 거론되고 있는 레트로, 보헤미안 랩소디는 이런 흐름에 가장 적합한 영화입니다. 무슨 이야기냐구요? 먼저 뉴트로의 의미를 봅시다.
새로움(New)과 복고(Retro)를 합친 신조어로, 복고(Retro)를 새롭게(New) 즐기는 경향을 말한다. - 네이버 지식백과사전
밀레니얼들에게 보헤미안 랩소디를 관람한다는 것은 복고 -70/80년대 퀸의 음악- 를 새롭게 - 싱어롱, ScreenX, 다차 관람 등- 즐기는 방식의 하나 입니다. 이런 밀레니얼 세대들의 놀이 문화가 영화 관람의 생태계에도 변화를 불어오고 있는 것이죠. 예전에는 영화는 조용히 앉아서 보고, 좋으면 DVD나 TV에서 할 때 다시 한번 더 보는 게 영화 관람의 전부 였다면, 지금은 함께 즐기고 좋으면 몇 번씩 더 보고 그리고 그것이 전혀 아깝지 않은 시대가 온 것입니다. 보헤미안 랩소디의 싱어롱 상영관 같은 경우, 얌전히 영화를 보는 관은 '비인기관'이 되었고 좀 놀 줄 아는 사람들이 많이 찾는 영화관이 '인기관'이 되었을 정도로 기존 영화 관람 방식을 완전히 깨버렸죠.
콘텐츠를 소비하는 사람들의 향유 방식이 바뀌다 보니, 기존 문화도 변화를 적극적으로 따라가는 것이죠. 게다가 보헤미안 랩소디는 가장 핵심이 되는 음악도 다양한 cf나 bgm 등을 통해 익숙하기 때문에 이를 따라가기 쉽습니다. 즉, 머글(흔히 진성 팬들이 일반인들을 부르는 호칭, 해리포터에서 인간이라는 뜻을 가진 단어) 들의 진입 장벽이 상당히 낮죠. 기존 매니아 층과 섞여 놀기가 굉장히 쉽다는 것입니다.
문화 향유에 의미 부여
밀레니얼 세대들은 단순히 좋은 것 만을 찾지 않습니다. 문화를 향유함에 있어서도 그냥 좋은 브랜드만 찾는 것이 아니라, 그 안에서 의미를 찾고자 합니다. 자신이 이 문화를 향유함으로 인해 오는 어떤 긍정적 의미가 문화 소비에 큰 의미 부여가 되는 것이죠.
보헤미안 랩소디는 그룹 퀸의 성장과 그 안에서의 고통, 그리고 이를 극복해나가는 과정이 그려져 있습니다. 이는 기존에 음악으로만 알았던 퀸이라는 그룹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보여줍니다. 그들도 자신들과 같이 힘들었던 순간이 있었던 것이죠. 그리고 그 힘겨움이 라이브 애이드라는 콘서트를 통해 해소되는 과정을 보면서 카타르시스를 느낍니다. 이런 일련의 과정들이 그들 자신에게 주는 위로이자 힘이 되는 것이죠.
이러한 흐름들은 결국 보헤미안 랩소디라는 영화에 굉장한 파급력을 주고 이 영화가 성공하는 데에 일조 합니다. 물론 이 외에도 다양한 이유가 있겠지만, 제가 보는 가장 큰 이유는 이 두 가지에 있습니다.
지금도 보헤미안 랩소디는 상영 중에 있습니다. 앞으로 이 영화가, 그리고 그 다음의 영화가 앞으로 어떤 문화 산업에 변화를 가져올지 기대해보면서 분석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
'읽어보는 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 상영관 종류/명당 좌석 대공개 _ 4DX, IMAX, 스크린X에 대하여 (0) | 2019.01.25 |
---|---|
영화 데드풀2_ 데드풀이 가족 영화가 된다면 (0) | 2019.01.25 |
넷플릭스(Netflix) 오리지널 영화 추천 _필자가 완주했다 2편(로맨스, 코미디) (1) | 2019.01.17 |
영화 '뱀파이어와의 인터뷰' 리뷰_ '인간성'은 무엇으로 정의되는가 (0) | 2019.01.17 |
영화 '원데이' 리뷰_ 이별을 극복하는 자세 (0) | 2019.01.15 |